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소비자 물가지수 역대 최고치.

by thinkdeeply 2022. 7. 6.
반응형

문제는 앞으로도 물가가 계속 오를 것 같다라는 건데 왜냐하면 이달에도 여전히 고유가는 계속되고 있고요 이달부터 전기요금도 오르기 때문에 아마도 다음 달에 나오는 7월 물가지수도 높게 나올 가능성이 높습니다. 

 

미친 물가. 얼마나 오른 걸까? 

 

작년 6월 대비 6% 오른 걸로 나왔습니다. 
참고로 지난달에는 작년 5월 대비 5.4% 올랐거든요. 
외환위기 때인 98년 11월에 6% 정도로 나왔으니까 한 24년 만에 최고치로 나온 겁니다. 
작년 6월 대비 기름값이 가장 많이 올랐고요 농축산물 가격도 많이 올랐는데 변동폭이 큰 기름값이랑 농축산물 가격 제외한 물가지수 3.9% 나왔거든요. 
이게 2009년 4월에 4.0% 나왔었으니까 이거 역시 13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한 겁니다.
기름이랑 농축산물 빼면 이건 주로 이제 서비스 요금 등일 텐데 그렇습니다.
서비스 가격 전기 가스 수도 요금도 작년 6월 대비 많이 올라서 높게 나온 겁니다. 

 

기준금리 또 오른다

 

그러면 이번 달 13일에 기준금리 결정하는 회의가 열리거든요.  근데 시장에서는 6월 물가가 6%를 넘기게 되면 한국은행이 0.5 포인트를 올릴 거라는 전망이 많았었습니다. 금리를 근데 지금 6%가 나왔으니까 한국은행이 역사상 처음으로 기준금리를 0.5% 포인트를 올릴지 그 어느 때보다도 관심이 커진 그런 상황입니다.

 

물가가 오른다는 건 현금 가치가 떨어진다는 말입니다. 때문에 현금을 들고 있지 않고 자산에 넘기는 전략을 쓰는 데, 금리가 오르면서 자산 가치 역시 함께 떨어지고 있으니 투자가 어려워집니다. 때문에 많은 분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이죠. 

 

다음 글에선 서울 시민들에게 안심소득을 준다는 소식을 준비해봤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