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요즘 초, 중 고등생이 모르는 단어 11선.

by thinkdeeply 2021. 6. 27.
반응형

요즘 학생들은 동영상 시청 시간이 늘어나면서 문어체보다 구어체에 익숙하고

상대적으로 문어체엔 어려움을 느낀다.

특히 10대는 TV 시청뿐 아니라 유튜브를 2시간 35분 시청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영상언어에 노출되는 시간이 많아지면서 공문서 등 문어체를 해석하는 데 약하다는 것이다. 

아래 단어 중에 학생들이 있다면 본인의 어휘를 점검해보자.

 

상업광고 (이렇게 상업광고는 상품이나 제품, 용역 등을 홍보하여 소비자를 자극시키고

소비자와의 수요, 급을 늘림으로서 이윤을 창출하는 것이다.)

 

보름 (보름은 한달 중 보름달이 뜨는 음력 15일을 칭한다. (또한 보름은 15일간을 의미한다.) 정월 대보름은 정월(음력 1월)의 보름날이다.

 

그믐 (그믐은 음력으로 달의 마지막 날인 29일 또는 30일을 뜻한다. 달리 표현하자면 그믐은 삭일(朔日) 전날이다. 삭일(朔日)은 삭(朔)이 속한 날이며, 삭(朔)은 달이 황도(黃道)를 지나는 순간이다.)

 

두문불출 (현재에는 주로 집에만 있고 외출을 하지 않는 사람을 가리킬 때 쓰인다.)

 

양분 (양료. 식물의 생장에 필수적이며, 토양 내 원소나 화합물로서 존재하는 것. 식물의 생장과 개화 및 결실에 절대적으로 필요한 양분를 필수양분이라고 한다.)

 

얼굴이 피다 (사람이 살이 오르고 혈색이 좋아지다)

 

(농민의 난 이자겸의 난)

 

사흘 나흘 (사흘은 3일 나흘은 4일)

 

이지적  (이성과 지혜를 아울러 이르는 말로써 행동하거나 판단하는 또는 그런 것)

 

고지식 (융통성이 없고 앞뒤가 꽉 막힌 사람을 지칭하는 용어)

 

일탈 (사회적 규범을 위반하는 행동이나 행위)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