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전기차 만드는 회사 이 회사는 배터리도 같이 만드는데 catl 이라고 하는 곳이 신개념 혁신적인 배터리를 내놓은 모양입니다. 이 신제품 이름이 '기린 배터리'라는 건데 이 배터리의 가장 큰 특징이 같은 무게면 전기를 더 많이 충전할 수 있도록 밀도를 높인 겁니다.
CATL, 기린 배터리 출시
밀도를 어떻게 높이냐 배터리에서 모듈이라는 것을 없애서 밀도를 높이는 건데요. 이걸 이해하기 위해서 배터리 기본 구조를 간단히 설명하면 배터리의 최소 단위는 건전지처럼 생긴 셀이고 이 셀을 여러 개 모으면 모듈이 되고, 이 모듈을 여러 개 모으면 배터리 팩이 되는데, 이 모듈과 팩이 같이 일하면서 셀이 너무 뜨거워지지는 않는지 열도 시켜주고 이런 역할을 합니다.
CATL의 배터리 기술은 어떤 것?
근데 이번에 catl이 새로 내놓은 이 기린 배터리라는 거는 여기서 중간에 있는 모듈을 빼고 셀을 모아서 바로 배터리 팩에 담아요. 팩이 모듈 역할도 같이 할 수 있도록 하는 겁니다. 기존에는 배터리를 만들면 그걸 상자에 두 번 담아서 차에다가 실었는데 이 기린 배터리는 상자에 한 번만 담아서 차에다가 실으니까 똑같은 배터리라고 해도 자리를 좀 적게 차지하고 그래서 배터리를 그만큼 추가로 넣을 수 있고 그런 기술입니다.
옛날에는 그럼 배터리 좀 갖고 오세요라고 하면 뭐 두부판처럼 커다랗게 된 박스 이런 거 들고 와서 차에다 넣었는데 네 이제는 배터리 갖고 오세요. 그러면 뭔가 찰흙 덩어리 같은 거 갖고 와서 차 여기저기에 구겨 넣을 수 있다는 거군요.
네 그렇습니다. 그래서 좀 배터리를 추가로 넣을 수 있고 그래서 이거를 셀2팩 기술이라고 부르는데 기존에도 물론 catl이 이런 기술을 가지고 있기는 했지만 이번에 3세대 셀2팩 배터리를 내놓으면서 성능을 크게 끌어올린 겁니다. 그동안 우리나라 배터리가 중국 배터리보다 덜 팔리긴 하지만 그건 중국이 전기차들을 아주 많이 만들어서 그렇고 자기네 국산품만 쓰느라고 그렇게 된 거고 품질 성능은 우리나라 배터리가 좋다는 게 우리나라 배터리 회사들의 주장이었는데 이러면 역전된 겁니까 아니면 어떻게 봐야 돼요??
2차 전지 기업들의 타격 예상.
적어도 거의 비슷하게 따라잡았다고 보는 건데요. 그동안 중국 배터리가 안 좋다고 우리나라 배터리보다 안 좋다라고 뒤쳐졌다. 이렇게 얘기하는 건 크게 두 가지 이유입니다. 첫 번째는 배터리 양극제 때문인데 중국이 주로 생산하는 리튬 인산철로 양극제를 만든 lfp 배터리 이거는 조금 더 한국이 만드는 삼원계 배터리보다는 철이 들어가서 좀 싸고 제조원가가 낮고 안정적이지만 에너지 밀도가 낮아서 한 번 충전했을 때 주행 거리가 짧은 게 단점이었습니다. 또 이 양극제 종류 때문도 그렇지만 배터리 모양도 영향을 미쳤는데 중국은 상자처럼 생긴 각형 배터리를 주로 만드는데 한국이나 일본 기업들은 얇고 납작하게 생긴 파우치형이나 아니면 건전지처럼 생긴 원통형 배터리를 주로 만들었거든요.
각형 배터리가 비교를 해보면 외부 충격에는 강하고 또 싼데 이게 상자 모양으로 생겨서 부피가 좀 있으니까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었으니까 중국 배터리가 그동안 철로 들어가서 안정적이고 싸긴 한데 딱딱한 상자처럼 생겨서 좀 불편했다. 그래서 이 두 가지 때문에 중국산은 싸긴 한데 좀 전기를 많이 충전을 못하는 것 같다. 그래서 오래 못 가는 것 같다라는 게 약점이었는데요, 셀트팩 기술이라는 걸 중국 기업이 발전시키면서 에너지를 좀 더 효율적으로 실을 수 있게 됐고 그래서 catl이 주장할 때는 이 한국 기업이 내년에 내놓을 배터리보다 지금 이 배터리가 13% 이상 용량이 더 크다 그리고 한 번 충전하면 한 1천km 갈 수 있는데, lg 에너지 솔루션이 내년에 내놓을 게 한 700kg 정도 간다고 하거든요.
회사에서 밝힌 거라 정확한 똑같은 조건은 아니겠습니다만 적어도 한국산보다 성능이 비슷하거나 좀 더 나은 수준일 거다 이렇게 예상하고 있습니다.
전기차 기술격차, 주의단계.
그동안 중국산 배터리가 좀 싸긴 쌌는데 한 번 충전해봐야 올해는 못 가는 그런 문제가 있었는데 그럼 많이 넣으면 될 거 아니냐 하면서 여기저기 구겨놓을 수 있는 방식으로 만들었다는 거군요.
네 그렇습니다. 우리나라도 그렇게 하면 될 텐데 그게 좀 쉽지는 않은 모양입니다. 우리나라가 만드는 배터리들의 모양이 중국보다 달라서 원통형과 파우치 형은 조금 더 어렵다고 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