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지방 아파트, 여기만 살아남는다!? 신축VS구축

by thinkdeeply 2021. 8. 18.
반응형

앞으로 인구가 계속 줄고 있는 상황에서 지방은 이곳만 살아남게 됩니다

그곳이 어딘지 저랑 함께 알아보시죠

 

오늘은 지방에 사시는 분들한테

도움이 될만한 영상인데요

지방에 거주하고 계시거나 또는 지방의 내 집을 마련하고 싶으신 분들에게 이 글이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현재 우리나라의 인구가 굉장히 좀 줄어들고 있죠?

우리나라의 인구가 줄어듦에 따라서 집값이 내려 가는게 아닐까 라는 걱정을 하시는 분들이 정말 많습니다

그런데 그 걱정이 대부분은 맞습니다

왜냐하면 인구가 줄어 들게 되면 은 아무래도 지방의 인구가 가장 먼저 줄어들기 때문에

지방에 내 집을 마련하는 게 맞을까?

또는 마련한다면 어디에 마련해야 좋을까 라고 좀 생각하시는 분들이 많을 텐데요

 

제가 오늘 뉴스 기사를 보면서 그 내용들 한번 쭉 얘기 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지방 경기가 침체되고 있다.

수도권 인구 유입이 12년 만에 최대다 라고 나와 있습니다

지방 경기가 좀 침체 되서 일자리 들이 많이 줄었죠

그러다 보니까 지방에서 수도권으로 많이 유입이 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2017년 을 기준으로 2017년에는 그전에는 이제 수도권에서 오히려

지방으로 많이 빠졌지만 17년을 기준으로 지방에서 수도권으로 굉장히

가파르게 사람들이 전입을 하고 있습니다

 

작년에만 해도 8만 3천 명의 전입을 했구요 지금 올해는 아마 더 많을

것으로 좀 예상이 되고 있습니다

 

그리고 다른 뉴스 기사를 보면 요 수도권 의 올해 인구가 사상 처음으로

비수도권 인구를 추월했다.

1970년에는 수도권의 인구가 900만 명 정도 됐어요

그리고 지방 인구가 2천 3백만 명 정도 됐습니다

그런데 2020년인 지금 수도권의 인구는 25906만명 비수도권

의 인구는 25802만명 대략 한 14만 명 정도 수도권의 인구가 더

많게 됐습니다.

 

여기 표를 보시면 이제 지방은 2020년을 기점으로 인구가 굉장히

가파르게 감소를 하게 됩니다. 그런데 수도권을 보면 인구가

좀 상승을 합니다. 그래서 2035년 을 기준으로 그때부터 이제 하락을하게 됩니다

 

인구가 줄어든다면서요? 그건 전체적인 인구가 줄어든다는 뜻이구요

지방 인구가 상대적으로 많이 줄어들고 수도권으로 상당기간은 전입이 좀 더 될 것이다

이렇게 지금 예측이 되고 있습니다.

 

 

그리고 제가 예전에 보여

드렸던 이 호객 노노 라는 앱이 있습니다.

아파트 실거래가를 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구 이동을 누르면 인구 이동도 보실수가 있습니다.

빨간 세계의 경기도의 굉장히 크게 이렇게 나와 있죠

이 말은 지방에서 수도권으로 실제 작년 1년 동안의 전입해 온 인구가

굉장히 많이 있다. 지금 이런 뜻입니다

자세히 확대해서 보면 은 경기도로 16만 3대 정도 들어 났구요

서울은 6만 5천 세대 드러났고 인천은 2만 3천 세대 드러났습니다

서울은 인구가 줄어 든다 면서 요 서울은 인구가 천만 이 깨졌다면서요?

이렇게 반문 하실 수 있는데 세대수가 늘어난 겁니다.

 

세대수가 늘어 났다는 말은 1인 가구가 증가를 했다는 뜻이죠.

실제 지금 현재 1인 가구 의 비율은 30% 정도 됩니다.

10 가구 중에 3 가구는 1인 가구 라는 뜻이죠. 이 비율이 굉장히

급속도로 증가해서 나중에는 50% 에 육박할 것이다. 둘중에 한명은

혼자 사는 1인 가구가 될 것이다 하는 전망이 굉장히 많이 나오고 있습니다.

1인 가구가 늘어나게 되면요 이제 가장 큰 문제점이 도심 회귀 현상이 일어나게 되는데

예전에 도심의 높은 집값 때문에 인근 신도시나 또는 지방이면 

대구나 부산에 살던 사람들이 인근에 이제 좀 가격이 저렴한 곳으로 이동을 하게 됩니다

여기 중간에 있던 사람들이 밖으로 좀 나가게 되는 거죠.

 

나갔던 사람들이 시간이 지나면 다시 도심으로 돌아오는 현상.

나갔다가 다시 도심으로 돌아오는 거예요.

나갔는데 너무 외로운 거죠. 외롭고 편의 시설도 없고 인프라도 없고

그러다 보니까 다시 인프라나 직장이 있는 도심으로 좀 회귀를 하는 겁니다

지금 이게 일본의 현상인데 우리나라도 좀 아마 비슷할 걸로 예상이 되고 있습니다

그러다 보니까 우리가 지방의 내 집을 사는게 좀 위험하다고 느껴질 수

있는데요 이럴때 일수록 좀 잘 보고 사야 됩니다

 

옥석을 좀 가려서 사야되는데 지방 같은 경우는 내집마련 하실때 꼭

대도시 있죠? 울산 부산이면 부산. 대구 광주 이런 큰 대 도심권 위주로 접근 하셔야 됩니다.

 

그래야지 나중에 그 주변으로 빠져 나갔던 사람들이 다시 돌아올 때

좀 탄탄한 수요가 될 수 있는 거죠.

 

그리고 그대 도심권 안에서도 웬만하면 신축을 구입하기를 좀 추천을 드리구요

요즘 사람들은 돈을 조금 더 주더라도 구축에 사는 것보다 매달 10만원

30만원 더 내더라도 월세를 더 내더라도 신축에 사는걸 좀 선호를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신축 아파트를 좀 가지고 있을 때 상대적으로 가격 하락에 대해서 좀 강한 버팀을 할 수 있고요

그리고 혹시나 돈이 없어서 구축으로 사야 된다 이러시는 분들은

구축 마련을 할 때 도심권 안에서도 인기 지역 있죠?

예를 들면 부산에서는 서면이나 해운대 이런식으로 좀 인기 위주로 구축 아파트를 접근 하시는 게 굉장히 좋습니다

나중에 새 아파트로 바뀔 때 입지는 그대로기 때문에 입지는 바뀌지 않습니다

부동산의 명언이 있죠?

 

첫째도 입지 둘째도 입지 셋째도 입지다

 

그래서 좀 구축 아파트를 선택하실 때는 도시만 해서도 굉장히 좀 핫한 곳

인기가 있는 곳 사람들의 수요가 있는 곳 위주로 좀 접근 하시면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다음에 다시 만나요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