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주식6 SQQQ BOIL TLT IEF 주식 매수 매도 일지 탈출각이 안 나오는 하락장이다. 그나마 금과 은에서 약간의 반등이 나왔다. 달러가 떨어지는 초반 그 강도는 강했지만 후반 달러가 다시 반등하면서 금과 은도 상승폭을 대부분 반납했다. 채권 etf는 역대급 가격이지만 들어가기 어렵다. 물린 주식들의 처분도 역시 어렵다. 금은 달러 가격 집중 진난 밤엔 금과 은 ETF인 AGQ XAU XAG 등의 ETF가 선방했다. 큰 하락에 대한 기술적 반등으로 보인다. 달러가 약세가 되면 조금 더 오를 것 같지만 달러의 기세가 꺽이지 않는다. 달러는 원달러 기준 1500원을 점치는 전문가부터 2900원을 보는 사람들까지 다양하다. 다만 세계 경제의 파수꾼으로써의 미국의 역할을 기대하긴 어렵다. 정치적으로도 미국은 당분간 달러강세를 즐길 모양이다. 달러 인버스 ETF로 U.. 2022. 10. 21. 달러 강세, 이탈리아가 불을 지피면 우린 다 죽어!! 달러가 급등하고 있다. 역대 유래가 없을 정도의 상승인데 환율은 우리나라에 큰 비극을 몰고 올 수도 있다. 주식과 부동산의 침체를 겪고 있는 상황에서 달러 강세는 투자금이 빠져나가 주가와 부동산에 큰 파장을 몰고 올 주요 원인이 되기 때문이다. 달러 환율 강세, 당분간 이어질 수밖에 없는 환경. 국제유가 상승, 천연가스 수요 상승 = 물가가 오르는 근본 이유. 경제의 두 축은 수요와 공급이다. 이 중 수요는 금리로 통해 통제가 가능하다. 공급은 통제 방법에 대한 답이 없다는 것이 문제다. 공급단의 근간은 유가이며 각국의 이해관계가 복잡하게 얽혀있어 통제가 사실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2022 하반기 물가와 관련된 이슈는 러시아가 모든 에너지 패권을 쥐고 있다는 점이다. 스트롱맨 푸틴이 대통령인 상태에서 이.. 2022. 9. 12. 이전 1 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