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들려주고싶은이야기

지방 부동산, 적당한 매물은 NO! 극단적 선택을 권한다.

by thinkdeeply 2021. 5. 22.
반응형

모두가 서울, 수도권의 아파트 가격에 촉각을 곤두세우는 사이

지방으로 눈을 돌리는 수요가 있다. 

보통 지방에서의 부동산 거래는

 

 

실거주 수요.

부동산 투자로 나눌 수 있다.  

이 글에선 두 번째 투자 아이디어를 공유해보고자 한다. 

 

 

부동산은 다시 땅과 건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지목이나 형질로도 구분이 가능하지만 오늘은 글의 목적을 조금 더 분명히 하고자 이렇게 나눠본다. 

건물은 또다시 아파트와 단독주택으로 나눌 수 있을 것이다. 

 

 

지방부동산 투자는 주로 아파트로 이뤄진다. 이것에 대해선 워낙 많은 정보가 난무하고 있으니 

이번 글에선 패스~ 오늘 이야기 할 주제는 콕 찍어 지방의 주택에 대한 투자다. 

 

지방의 주택을 사서 뭐하게? 라는 질문이 벌써 들리는 듯 하다. 

상상해보자. 지방의 주택들은 어떤 모습이었는가?   

 

 

수많은 생각들이 떠오르겠지만 내 경우 벽돌로 지어진 옥상이 있는 집이다. 

물론 옥상으로 올라가는 계단도 건물 한켠에 붙어 있다. 

 

 

마당은 시멘트로 발라졌거나 텃밭이 조금 있고, 있으나 마나 한 대문이 마당 끝에 달려있다. 

한켠에 창고로 사용하는 건물이 있는데 워낙 낡아서 툭 치면 넘어갈듯 위태롭다.

 

 

내부는 자식들 오면 재워야 하기에 좁은 평수를 방들로 더 세분화 한 건물.

형광등이 방마다 달려있는 바로 그 시골집. 이게 내 머릿속 이미지다.

 

많은 분들이 동감할 거라고 생각된다. 

이런 집을 투자하자고? 아니다.

이런 집과 조금이라도 비슷한 집은 잊어라. 

 

투자할 집은 이렇게 멀쩡하면 안 된다. 

다시 상상하는데 이번엔 더 처참한 광경을 떠올려야 한다. 

 

 

벽에 구멍이 뚫려있거나 문짝이 덜렁거리는 집

마당은 풀로 메워져 바닥이 안 보이는 집. 

 

외양간으로 쓰던 허름한 공간이 스산하게 남은 집. 

한지로 문을 바른 집. 

 

군데군데 낡았지만 골격은 썽썽하며 지붕 서까래가 곧은 집. 

 

일명 옛날집, 폐가다. 

이런 집에 투자하는 건 현금 흐름을 만드는 투자로 좋은 기회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가장 매력적인 건 싸게 살 수 있다는 점. 

다른 사람들의 눈에는 안 좋게 보이지만 상상력을 더할 줄 아는 사람의 눈에는 보물이다. 

 

현황은 폐가지만 리모델링을 거치면 살만한 집이 되는 것이다. 

거기에 푸릇푸릇 잔디와 아기자기한 텃밭이 곁들어진 예쁜 마당이 있다면

번듯한 모습의 한옥이 된다. 

 

 

투자에 적합한 두 번째 대상은 고급주택이다. 

지방에서 흔히 있는 일인데 부유층이 집을 지어놓고 몇년 안 됐는데 이사가는 경우다. 

 

보통은 다른 지방에 일이 생겨 이사를 가거나 전원생황을 뒤로 하고 근처 아파트로 옮긴다.

 

이런 매물이 한 번씩 지역 부동산을 통해 나온다. 

당연히 시간을 내서 현장을 방문해야 겠지만 사전에 다음과 같은 조건이 맞는지 확인해보고 움직여보자. 

 

 

  • 산, 계곡, 강, 바다가 있어야 한다. 
  • 프라이빗은 지켜지는가?
  • 인테리어 얼마나 모던한가?
  • 수리비는 얼마나 들어가는가?
  • 부속토지는 얼마나 되는가?
  • 뷰는 어떠한가? 
  • 매입 시 타겟은 누구인가?
  • 데크는 활용할 수 있는가? 

 

급매로 나오거나 경매로 나오는 경우도 많다.

지인도 지역의 건설 업자가 지은 집을 70%가량의 금액으로 구입해 살고 있다. 

 

직접 사는 것도 방법이지만 농어촌 민박업, 에어비엔비, 펜션 등으로 활용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수도원에서의 거리는 크게 중요하지 않다.

광주나 대구 등 주변 대도시가 있다면 이런 수요는 언제든 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