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돈버는 습관 매매일지

코스피, 조정일까 하락반전일까? 추세 전환을 확인하는 방법 공개.

by thinkdeeply 2023. 7. 7.
반응형

코스피 지수가 최근 하방힘을 받고 있습니다. 때문에 개별주들도 올라가지 못하고 고꾸라지는 모습ㄴ을 연출하고 있는데요, 과연 이 하락은 언제까지 갈 것인지, 그리고 시장은 이대로 주저앉게 되는 것인지 한 번 알아보겠습니다. 

 

2023 코스피 상황은 단기 고점? 본격 하락?

 

코스피 월봉, 캔들은 지우고 이평선으로 분석

지수의 움직임을 예측하는 건 조금은 바보같은 짓입니다. 너무 많은 변수가 지수를 쥐고 흔들어버리기 때문입니다. 그럼에 긴 시간으로 보면 어느 정도 흐름이 보입니다. 위 그림은 월봉으로 본 움직임입니다. 이 그림 안에 2018년부터 흐름이 담겨있습니다. 까만 화살표는 월봉에서 보인 5이평의 바닥입니다. 위 스토캐스틱에서도 같은 에너지가 관측됩니다. 

 

최근 상승 역시 5 이평선이 바닥을 만들어주면서 상승했음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런데 파란색 화살표가 조금 신경쓰이네요. 이녀석이 고개를 들어주면 금상첨화일텐데요. 

 

지수의 추세 전환 확인은 5이평선의 바닥 패턴으로 

 

이녀석이 언제 고개를 들지는 조금 후에 다뤄보기로 하고 검은 화살표는 왜 3개이고 붉은 화살표는 왜 2개인지 먼저 확인해봅시다. 이 개념을 갖고 있으면 앞으로 트레이딩을 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 확신합니다. 과거 5이평선의 바닥이 세 개가 필요했던 이유는 바로 고점과 저점이 낮아지는 이평선의 위치 때문입니다. 이평선의 저점이 낮아지지 않았다면 2개의 바닥으로도 추세를 돌릴 수 있었을 겁니다. 최근 움직임에선 바닥이 들리면서 작은 바닥으로도 상승을 한 것과 대조적입니다. 그런데 이 바닥이 3개가 필요할 때도 있고 4개가 필요할 때도 있습니다. 저점이 계속 낮아지면 바닥이 대여섯개라도 안 올라옵니다. 이 하락의 끝을 알리는 신호는 스토캐스틱에서 확인할 수 있는데요, 위 그림에서 스토캐스틱 검은 화살표를 확인해보시면 놀라운 점을 발견할 수 있을 겁니다. 이평선과 달리 스토캐스틱의 바닥이 올라가고 있습니다. 

 

코스피는 조정인가 본격 하락인가? 

코스피 주봉 차트. 캔들은 지우고 이평선만 보인다

 

이번엔 주봉입니다. 까만 화살표를 보면 잘 상승하는 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파란 화살표는 저점을 확 낮춰버렸습니다. 이평선은 아직 반응을 하지 않지만 스토캐스틱의 가장 위에 있는 파동 (붉은 화살표)가 과매수 지역에서 벗어나며 하방으로 움직이면 이를 돌리기에 매우 큰 힘과 시간이 필요하다는 것을 이해하셔야 합니다. 붉은 화살표가 하방으로 내리는 동안 지수를 내려올 것이고 그 시기 개별주는 좋지 못한 성적을 보일테니까요. 

 

가장 좋은 시나리오는 이번에 내려온 스토캐스틱 소파동이 다시 저점을 높여주며 파동을 만들어주는 것입니다. 그건 지금 시점에선 알 수 없는 것이죠. 다만 위 챠트가 주봉이기 때문에 내려오는 소파동을 돌리기 위해선 며칠이 걸릴 것이라는 점입니다. 즉, 1~2주 정도는 관망하는 게 좋겠죠? 

 

최악의 시나리오는 이대로 지수 하락

이 역시 대비해야 합니다. 지금 하방힘은 조만간 다시 상방힘으로 바뀔 것이라 생각됩니다. 그럼에도 과매수에 들어가지 못하는 소파동의 힘은 직전 고점보다 낮은 힘이고 파동이 다시 내려와 과매도로 빠져버린다면 하락추세로 전환되었음을 인정해도 좋을 것입니다. 그 경우 대파동이 슬금슬금 내려올 것이며 이를 다시 상방으로 되돌리는 데 필요한 기간은 적어도 6개월은 필요할 것입니다. 위 챠트는 주봉챠트니까요. 최악의 시나리오를 그려보게습니다. 

 

코스피 장기 하락 시나리오.

대파동이 내려오며 대재앙을 불러일으키는 경우입니다. 물론 대파동이 옆으로 기며 오르락 내리락 할 수도 있고 조금 내려오다가 다시 올라갈 수도 있습니다. 소파동과 중파동이 열일하면 가능하죠. 과면 주가는 어떻게 흘러갈까요? 지금 시점에서 예단하긴 어렵지만 보름 정도는 관망하시길 추천드립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