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172

QQQ 주가는 상방, SQQQ 포지션은 탈출각? 나스닥에 한국인의 상당 자금이 물려있는 상황이다. 미처 빠져나오지 못한 채 지난해 하반기부터의 하락을 온몸으로 받아내고 있다. 이번주엔 반등다운 상방의 모습을 보였지만 주 후반, 그 힘이 약해졌다. 다음주 QQQ의 방향은 어떻게 될까? 큰 그림에서 주가를 내려보자. 주가를 볼 때 일반적인 습관은 일봉을 확인하는 것이다. 그러나 더 큰 기간인 주, 월단위 챠트를 들여다 봐야 큰 흐름을 읽을 수 있다. 위 그림은 주봉이다. 구불구불 파란 라인은 볼린져밴드, 나머지는 이평선이니 쉽게 구분을 할 수 있다. 이번주 움직임을 주봉에서 해석하면 주황색 이평에 저항을 받고 있으며 볼린져밴드 하단에 가깝다는 정도다. 주황색 이평은 일봉에서 10일선이다. 주봉으로 오면 10주선이 된다. 즉, 10주 평균선에 저항을 받고 .. 2022. 7. 9.
1도 더워지면 편의점 매출 급상승, 날씨를 알아야 돈을 벌 수 있다 #기상예보산업 기상 예보 산업 날씨가 돈이 되려면 사실은 우리 같은 일반인들은 체감을 못 해요. 그런데 날씨 관련 데이터를 사는 쪽은 주로 기업입니다. 기업들은 돈을 주고 사야 되는 고급 정보이자 기업의 비즈니스 성과를 더 높여주거나 아니면 비용 손실을 줄여주는 굉장히 중요한 데이터예요. 사실 날씨와 관련된 데이터가 필요한 기업들이 거의 모든 기업이더라고요. 날씨가 어떻게 돈이 되냐고? 날씨의 경제학 gs25 편의점 같은 경우에 하루 평균 기온이 1도씩 오를 때마다 1도 오를 때마다 매장 방문 고객이 평균 9명 증가한다는 게 통계적으로 더우면 그냥 본능적으로 들어간다는 거죠. 더울수록 편의점 판매가 높아져요. 그리고 이 평균 아홉 명이 증가된 고객을 매출로 연결시키려면 편의점 물건에 대한 재배치가 필요한 거죠. 편의점.. 2022. 7. 8.
윤정부, 원자력 발전 늘린다 정부가 전기 만드는 원재료 중에서 원자력 발전의 비중을 지금보다 더 늘리기로 발표했어요.전기라는 비빔밥을 만들 때 그 안에 어떤 재료를 어느 정도 비중으로 넣을지를 정하는 게 에너지 믹스라는 개념이거든요. 물론 인수위에서도 원전 비중 늘리겠다고 했었기 때문에 이게 아주 새로운 내용은 아닙니다만 2030년까지 원전 비중을 30%로 늘리겠다. 라고 숫자를 공식화했기 때문에 주목을 받은 뉴스입니다. 원전 28기로 늘리겠다 전기를 생산할 때 들어가는 에너지원의 비중을 계산해 비율로 나타내는 것인데요, 태양광 이만큼, 풍력 이만큼, 석탄 이만큼, 원자력 이만큼 이런 비중을 정해두는 겁니다. 이전 정부의 에너지 믹스는 원전이라는 재료는 앞으로 전기 비빔밥 만들 때 비중을 줄이겠다 라는 거였습니다. 작년 기준으로 원.. 2022. 7. 8.
밀가루 회사 지원금 지급 확정. 뛰는 물가는 어떻게 하지? 밀가루 가격이 많이 올라가니까 물가에 또 자극을 하지 않을까 해서 나온 사업인데요. 밀가루 만드는 제분업체가 밀 수입 가격이 상승해서 제품 가격을 올려야 된다 그럴 때 제품 가격을 올리지 않고 동결하거나 아니면 10퍼센트만 올리면 칠십은 지원한다는 내용인데 예를 들어서 원가가 올라서 제품 가격을 100만큼 올려야 되는데 올리지 않거나 아니면 100 중에 10을 올리면 70은 정부가 지원을 해줄 테니까 20은 양보해라 손해를 봐라라는 겁니다. 100을 올려야 되는데 10만 원 올리고 90을 양보했으면 그 90 중에 70은 정부가 보태줄게 라는 거죠. 인플레이션 압박, 지원금으로 잡힐까? 상승 요인이 얼마나 되느냐 이걸 따지는데, 그냥 무턱대고 올리는 게 아니라 밀가루의 수입 가격이 얼마나 올랐느냐 분석을 .. 2022. 7. 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