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171

헝다사태, 테이퍼링!! 에휴, 사야 할까? 팔아야 할까? 과거 경험에 의하면 미국에서 양적완화를 거둬들이면 아시아는 발작을 일으킨다. 헝다로 중국 경제가 흔들리게 되면 우리나라는 굉장한 조정을 받게 될 것으로 예상이 가능하다. 국내 주식은 외부 요인에 의해 심하게 요동치는 갈대와 같은 모습을 매번 보이고 있다. 다행은 외국인이 순매수로 돌아왔다는 것이다. 헝다사태가 두렵기는 마찬가지일텐데 외국인들은 우리 주식을 사들였다. 오늘의 조정은 기회라는 것일가?? 문제의 본질은 '헝다' 라는 그룹의 부채다. 빚을 못 갚으면 리먼사태가 다시 재현된다는 두려움이 증시를 겁줬다. 우리나라도 부채에 대해선 자유롭지 못하다. 우리나라의 가장 약한 고리가 바로 가계부채다. 그만큼 부채가 터지는 건 증시에선 가장 강력한 악재가 된다. 사태 해결을 위해선 중국 정부의 의지가 중요하다.. 2021. 9. 23.
나무 재테크로 40, 50대 노후준비! 그런데 키운 다음 어떻게 팔지? 요즘 퇴직 관련 글을 연재하고 있다. 그동안 몇가지 퇴직 플랜을 짜두었는데 그 중 내가 직접 실행 할 가장 유력한 방법이 바로 나무 재테크다. 시설하우스를 만들어 귀농을 할 생각도 해보았지만 매일 같은 풍경을 마주하는 게 나완 맞지 않다는 걸 깨닫고 산을 보기 시작했다. 40대의 퇴직 계획으론 나무를 키우는 게 좋겠다는 생각은 여러 곳의 검증을 거치면서 더욱 확실해졌다. 대략 남은 시간 15년 남짓. 그동안 나무를 길러 퇴직과 함께 수익을 가져가는 것이다. 좋아하는 곳에서 생활하면서 말이다. 일단 이 이야기는 너무 길어지니 나중에 천천히 하도록 하자. ] 50대의 퇴직 준비와 40대의 퇴직 준비가 같을 수 없듯 나무 재테크에 대한 이야기도 연령별 지역별로 할 이야기가 많다. 오늘은 일단 무슨 일을 하던 .. 2021. 9. 23.
노후준비, 집 하나 있으면 현금은 얼마 필요할까? 노후준비에 대한 각성을 촉구하는 글이나 영상을 볼 수 있다. 연금으론 노후가 안정적이지 못하다는 설명이다. 다 맞는 말이다. 한 달 부부 생활비로 300만원은 필요하고 12달을 곱하면 3,600만원. 10년이면 3억 6천이다. 자식들이 문제를 일으키지 않았을 때 이야기다. 부부가 서로 문제를 일으키지 않아야 함은 물론이다. 그런데 이런 계산이 부풀려졌다는 의견도 많다. 집 한 채 있다면 이를 이용해 퇴직 후 노후준비가 가능하다는 것이다. 방법을 설명해본다. 우리나라는 55세 전후로 퇴직을 하고 은퇴시 집 한채 보유 확률이 60%에 달한다. 거의 모든 자산이 부동산에 묶여있는 우리나라의 현실이 만들어낸 독특한 구조다. 한 직장에서 열심히 일했다면 퇴직금은 2~3억 가량이 될 것이다. 많은 40대 50대가 .. 2021. 9. 23.
100프로 성공하는 수국 삽목, 관리법. 7월 안에 전지를 해야 된다. 수국은 물을 좋아한다. 수국은 해에 강하게 노출되면 타버리는 경우도 있다. 반그늘을 만들어주면 좋다. 수국 꽃을 오래 보려면 상대적으로 선선한 곳에 식재하면 된다. 물가나 나무 그늘, 지대가 높은 곳에 수국 꽃을 오래 볼 수 있다. 목수국 삽목은 딱딱한 느낌이 있는 가지를 만져서 찾아낸다. 아래 잎을 따내고 위쪽 잎 두 장을 남겨둔다. 남긴 잎은 절반정도를 잘라준다. 대충 상토판에 푹 꼽아도 잘 큰다. 수국은 물이 많아야 한다. 그러나 고인 물은 안 좋다. 배수가 잘 돼야 한다. 자칫 뿌리가 썪을 수 있다. 수국 삽목은 쉽다. 집에서 어항이 있다면 삽수 아래만 조금 담궈두는 것도 좋다. 100발 100중 뿌리가 나온다. 향수국 잘 키우는 방법은 빨리 크게 만드는 것이다. 꽃이 피면 질 때까지 기다리지 말.. 2021. 9. 1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