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171 2030년 대한민국 제 2의 도시는 인천. 그럼 부산은? 통계청 자료에 의하면 최근 10년, 6대 광역 도시 중 5곳의 광역시 인구가 감소했습니다. 자료에 따르면 오직 인천광역시만 인구가 늘었습니다. 2012년부터 2021년도까지 조사한 결과인데요, 인턴광역시의 경우 10만 4천 명이 증가했습니다. 이 추세라면 제 2의 도시는 부산이 아닌 인천이 된다는데, 어떤 일이 벌어지고 있는 건지 알아보겠습니다. 광역시도 피해가지 않는 인구감소 인천을 제외한 5개 광역시는 인구가 큰 폭으로 감소했습니다. 광역시 인구는 왜 줄어들까요? 바로 청년층의 이동이 그 이유입니다. 가장 큰 폭의 감소를 보인 부산광역시를 살펴볼까요? 부산광역시의 인구는 최근 10년간 19만 명이 줄었습니다. 인천은 10만 명이 늘었는데 부산은 두 배가 줄어든 것입니다. 청년층이 대거 수도권으로 이동.. 2022. 6. 25. 하락장, SQQQ 매수 매도의 원칙 연일하락장에 주식 잔고가 쪼그라들고 있다. 아직 주식들을 처분하지 못했다면 하락에 베팅해 손실을 만회하는 방법을 사용하는 것도 좋은 대처가 될 수 있다. 우리나라에선 곱버스, 미국장에선 SQQQ가 그 대표적인 종목이다. 이렇게 하락에 베팅, 전체적 손실을 상쇄시키는 걸 헷지이라고 부른다. SQQQ 챠트 흐름 최근 흐름은 나스닥의 상승으로 꽤 많은 하락을 경험했다. 나스닥은 상승하고 코스피 코스닥은 떨어지는 바람에 헷징을 하지 못하고 오히려 손실이 더 키지는 한 주를 경험했다. 생각보다 QQQ의 상승이 연달아 이어졌고 이제 QQQ의 3배 인버스인 SQQQ의 하락도 상당히 이뤄진 상황이다. 단기이평의 데드크로스가 나왔기 때문에 하락이 조금 더 이어질 수도 있는 상황이다. 다만 그림의 푸른 색 선인 추세선의 .. 2022. 6. 24. 우린 언제 비트코인을 사야 하나? 눌림목 매수, 지지 저항 확인법 비트코인 조정이 잠시 멈췄다. 잠시라는 말을 섞는 건 이제부터 횡보 또는 상승으로 돌아서서 하락이 끝났다고 보기엔 어렵기 때문이다. 그 이야기는 뒤에서 하고 비트코인을 매수하는 지점에 대해 설명한다. 매수타이밍은 주봉, 또는 월봉에서 추세선을 보고 진입여부를 결정한다. 스윙이 일주일이 넘어가면 월봉 주봉 체크는 필수다. 하루 이틀 단타라면 지지 저항 역할을 해주는 이평선의 위치를 보고 결정해도 된다. 위 그림은 주봉이다. 채널을 그어보면 아직 캔들이 바닥에 닿지 않았다. 그러나 하단 검은색 이평선 지지라인에 지지를 받는 모습이 보이고 그 아래 붉은 점선이 지지를 해 줄 가능성도 높다. 그러나 지금 캔들은 (화살표자리) 이평선 아래로 내려간 상태로 흑색 이평선은 저항이 된다. 때문에 주봉으로 봤을 땐 매수.. 2022. 6. 21. 나스닥 하락, 언제까지? 아직 멀었다. 나스닥의 하락 추세가 잠시 멋칫 하는 중이다. 0.75퍼센트 금리인상이라는 연준의 강력한 드라이브에 오히려 반색하는 중이다. 그 이유는 불확실성이 감소해서다. 시장이 가장 싫어하는 건 미래가 불투명한 상태다. 연준의 의지로 인플레이션이 더 빠르게 잡히게 되면 기업 실적과 소비자 심리에 긍정적인 반응이 될 것이라는 생각들이 요즘의 반등을 설명할 수 있는 요소일 것이다. 반등은 진짜일까? 깜짝쇼일까? 이번 반등이 잠깐일 수밖에 없다는 게 내 의견이다. 주식 전문가는 아니지만 전문가들의 "지금 사도 된다"는 의견엔 동의하지 않는다. 앞으로 나스닥 하락이 5%, 10%에 그친다면 그 의견에 동의한다. 지금까지 30% 넘게 빠진 지수가 반등하게 되면 작은 하락은 결국 수익으로 돌아온다는 데 큰 이견이 없기 때문이.. 2022. 6. 16. 이전 1 ··· 16 17 18 19 20 21 22 ··· 43 다음 반응형